1. 감기에 걸릴 확률 발생확률
감기에 걸릴 정도로 좋지 않은 상황에 노출된 일수를 D로 잡았을 때. (단 D는 366이하.)
N = 1/(D)^2 ~ 1/D 이다.
변수 D는 컨디션 계수 C에 의해 제한한다. 제한 방법은 현재 교육과정을 상회하는 것이므로 부득이하게 생략한다
2. 감기의 심각도
심각도 변수 F는
변수 N의 역수인 1/N을 취한 뒤에 오직 1/N만을 해로 취하는 3차 방정식의 2차항 계수 B에 1/10^(B의 자릿수 + 1)을 곱한다.
만약 변수의 소수점 첫자리가 7~9 라면 Hospital 정리를 사용하여 3이하로 낮춘다..
변수 N의 역수인 1/N을 취한 뒤에 오직 1/N만을 해로 취하는 3차 방정식의 2차항 계수 B에 1/10^(B의 자릿수 + 1)을 곱한다.
만약 변수의 소수점 첫자리가 7~9 라면 Hospital 정리를 사용하여 3이하로 낮춘다..
3. 감기로 인한 능률저하
평균적으로 능률평가함수 V(x)는
해석시에는 2번과 마찬가지로 1/10^(자릿수)을 곱하여 맨 뒷장의 능률저하표를 참고하여 해석한다.
4. 후유증
후유증 상수는 감기가 나은 후에도 컨디션 계수 C가 10을 넘지 못하는 기간과 확률을 결정한다.
결정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현재 교육과정에 가장 적합한
T = N + D + V(x)/x
를 이용한다.
지금 감기에 몸살에 정신이 없습니다.
추가할 항목 있으면 알려주세요.
능률저하표